반응형

종편사업자 선정 과정에서 무계획한 운영을 보여준 탓에 방송통신위원회에 대한 서운한 마음을 떨칠 수 없었던 불탄입니다. 미디어 빅뱅의 여파를 앞으로 방통위는 어떻게 수습해 나갈지 착잡하기만 합니다. 기대감을 버리는 것으로 끝난다면야 다행이겠습니다만, 그로 인해 우리의 문화와 생활경제에까지 미칠지도 모를 여파를 생각하자니 그냥 "나 몰라라" 할 수만은 없을 것 같습니다.

그런 가운데 오늘 방통위에서는 스마트TV의 최근 동향과 발전전망, 그리고 국내 미디어산업의 대응역량 강화를 위한 정책과제를 발표했는데요, 
스마트 미디어 생태계의 혁신과 협력, N-스크린, 온라인 양방향 서비스가 핵심내용이었습니다.

이미지 출처 - ETNEWS


방통위가 예상하고 있는 앞으로 전개될 스마트TV 시대는 비디오 유통 채널이 무한히 확대되고, 인터넷도 종합 미디어 플랫폼으로 확장되면서 콘텐츠 역시 치열한 경쟁을 피할 수 없을 것으로 보고 있더군요. 또한 이용자 선택권의 강화와 직접 제작의  증가, 미디어기업들의 수익모델 변화와 광고시장의 혁신이 뒤따를 것이라는 예상과 함께 플랫폼 중심의 생태계 경쟁을 예상하고 있더랍니다.

이와 같은 예상은 극히 당연해 보이기까지 합니다. 그리고 그러한 흐름은 굳이 스마트TV 시대이기 때문에 적용되는 것도 아니고요. 인터넷과 모바일, 스마트폰의 발전양상만 보더라도 충분히 예견할 수 있는 미래의 흐름일 테니까요. 또한 지금 당장 많은 산업군에서 절감하고 있는 부분이기도 하고요.

여기에 스마트TV 서비스에 대한 국내의 산업 경쟁력 또한 언급을 했는데요, 세계 최고의 네트워크와 기기제조 역량이나 방송콘텐츠 및 인터넷 서비스에 대한 경쟁력이 우수함에도 불구하고 산업발전을 막는 요인들로 제약을 받고 있음을 알렸습니다. 저가로 형성된 국내 유료방송 시장 상황이나 불법 다운로드 문화가 바로 그것들이란 거죠. 여기에 덧붙여 제조·방송·통신·인터넷포털 업계의 N-스크린 플랫폼 주도권 경쟁 역시 스마트TV의 질 높은 서비스를 방해하고 있다는 겁니다.

이 부분에 있어서는 관련 기술을 개발하거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들도 고민을 해봐야 할 것입니다. 결국 산업을 발전시키고 시장의 파이를 키우기 위해서는 독자적 개발이나 서비스보다는 표준화된 작업으로 나아가는 것이 더 빠른 성장을 가져올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니 방통위에서는 스마트 미디어 발전포럼을 구성하여 차세대 스마트TV 서비스 개발지원 사업에 40억 원을 투자하여 진행함과 함께 양방향 방송서비스 활성화 로드맵을 수립하겠다고 합니다. 또한 스마트TV 기술개발을 위해서는 음성 및 제스처 인식, 검색, 증강현실, 스마트 광고, 유해물 차단 등의 핵심 기반기술을 위해 올해부터 총 4년에 걸쳐 400억 원의 예산을 투입하겠다는 뜻을 밝혔습니다. 그리고 인력양성을 위한 전문교육과정도 현업 방송인과 벤처인력을 대상으로 운영하겠다고 했지요.

이 외에도 중·장기적인 사업에 관해서는 유료방송의 결합 규제와 방송광고 판매시장의 경쟁적 운영 등을 언급했습니다만, 이에 대한 실현가능성을 점치기에는 지금으로서는 무척이나 불투명해 보이는군요. 정책의 필요성이나 해내야만 하는 당위성에 있어서 만큼은 충분히 공감할 수 있겠습니다만, 실타래처럼 얽혀있는 이해당사자들과의 관계 속에서 정의로운 추진력을 보여주리라는 믿음을 갖는다는 건 너무나도 현실성이 없어 보이니까요.


Posted by 불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