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령별 보험재테크 Vol. 03 - 40대 맞춤형 보험상품
40대 맞춤형 보험상품
결론적으로는 본인의 건강관리에 관심이 높아지는 시기, 사회적 교제 범위가 가장 넓은 시기, 퇴직 이후의 삶에 대한 준비가 절실해지는 시기, 그때가 바로 40대가 아닐까 싶습니다.
그래서 보험회사에서는 40대들에게는 유족에 대한 보장을 할 수 있는 종신보험이나 정기보험을 권유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물론 본인의 생존 치료시 병원비 해결을 위해 민영의료보험이나 건강보험, 그리고 암보험 등이 중요하다고도 하지요.
특히나 우리나라에서는 암이 본격적으로 많이 발생하는 시기가 바로 40대이니 만큼 암에 대한 보장을 무척이나 강조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고, 그런 보험회사의 진단이 일견 옳게 보일 수밖에 없을 것입니다.
좀 더 깊이 생각해 볼까요?
40대를 간단하게 표현하자면 유족보장, 생존치료보장, 노후 대비, 재테크에 대한 포괄적인 관심이 증폭되는 시기라고 할 수 있습니다.
어쩌면 이들 보다도 자녀보장이란 숙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몸부림치는 시기일 지도 모를 일이고요.
그러니 40대는 보험재테크에 대한 고민을 많이 할 수밖에 없는 시기입니다. 미리미리 준비해 왔다면 괜찮겠습니다만, 그렇지 않은 경우라 한다면 본인에게 가장 필요한 것을 우선적으로 판단하여 하나하나 준비해 나가야 할 것입니다.
40대에는 다른 연령대보다 유독 돈 들어갈 데가 많은 나이입니다. 부모를 모셔야 하고, 자녀들 교육비에 등골이 휘어집니다. 체감으로 느껴지고 있는 정년퇴직의 나이가 40대 중후반이라는 사실도 부담일 수밖에 없습니다. 더군다나 2~30대는 실패했을 경우 다시 시작할 수 있는 시기라고 한다면, 40대의 경우는 그리 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아니, 불가능에 가까울 지도 모를 일입니다.
또한 40대는 앞으로 수입이 발생하는 시기가 많이 남지 않았다는 사실을 인정해야 하는 시기입니다. 그렇다는 것은 지금까지 노후 준비에 소홀했다고 한다면 지금부터는 적극적으로 노후자금 마련을 위한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는 뜻이기도 합니다.
그것도 본인의 것만이 아닌 배우자에 대한 준비도 함께 해야 하는데, 보통 3~4세 정도 나이가 더 많은 남편이 평균연령에서 7~8년 이상이나 더 긴 아내를 생각한다면 홀로 남겨져 10년 정도를 살아가야 할 아내를 위한 방안을 만들어내야 한다는 것이 허투루 들리지 않을 것이란 생각입니다.
때문에 40대에는 사망보장에 대한 준비는 적절하게 하고 있는지, 암이나 뇌출혈 등과 같은 큰 질병애 대한 보장자산은 준비되어 있는지 체크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평생 지출해야 하는 의료비에 있어서도 60대 이후부터 급증하고 있는 현실을 직시하고, 그에 대한 준비까지 갖춰놓는 것도 무척이나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