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노인성 치매, 영화에서나 다큐멘터리 프로그램을 통해 많이 접해 본 질환입니다.

실제로 함께 사는 가족의 입장에서는 너무나도 힘들다고 합니다.
자신만의 세계가 갇힌 상태에서 기억의 편린을 짜맞추지 못하는 그 단절감 때문에.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정책연구원에서 한 가지 자료를 발표했습니다.
지난 달 말일의 ‘2002~2009년까지 노인성 질환자 진료 추이 분석’ 결과였습니다.
절로 마음이 무거워지는 걸 절감할 수 있었습니다.


의료기관을 이용하는 노인성 질환자를 대상으로 조사를 해 봤더니,

환자는 2002년 대비 205.7%(49만9천 명→102만7천 명)으로 늘어났습니다.
총진료비에 있어서도 419.5%(5,813억 원→2조 4,387억 원)으로 증가했고요.
특히, 65세 이상 노인에게서는 진료실인원 255.4%, 총진료비 543.7%로 크게 증가했다고 하는군요.

이렇듯 노인성 질환자의 전체 의료비가 증가한 것은
65세 이상 노인의 의료이용 증가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고 합니다.


노인성 질환자의 의료비 추이를 살펴 보았더니,

2004년을 기점으로 해서 총진료비가 가파르게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었습니다.
65세 미만 자보다 65세 이상 자의 기울기가 훨씬 더 크게 증가하고 있던 거지요.

2002년에는 65세 미만 자와 65세 이상 자의 총진료비 차이가 크지 않았었는데,
2005년을 시작으로 두 군의 총 진료비 차이가 눈에 띄게 벌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다만, 전체 총진료비는 그 기울기가 2008년까지 꾸준히 높아지며 증가하다가
2009년에는 증가추세가 다소 완화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었습니다.


10만명당 노인성 질환자의 치료유병률을 살펴 보았더니,

2002년에 10만 명당 1,039명이 노인성 질환자였던 것이
2009년에는 2,041명으로 약 2배 늘어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65세 이상 노인에서 치료유병률이 두드러지게 증가했다는 거겠지요.

2002년도에 65세 이상 노인인구 10만명당 6,906명이 노인성 질환자였던 것에 반해
2009년에는 12,711명으로 184.1% 증가하였습니다.
65세 미만에서도 2002년 대비 2009년도의 치료유병률이 148.0%로 크게 증가했고요.


의료보장 형태별로 10만 명당 노인성 질환자 수를 살펴 보았더니,

2002년에 의료급여가 건강보험에 비해 그 수가 4.4배 많았고,
해마다 그 차이가 조금씩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었습니다.
2009년에는 4.9배의 차이를 보이고 있었습니다.

노인성 질환의 전체 1인당 진료이용량은 꾸준히 증가하였고,
치매와 파킨슨병의 증가가 두드러지게 나타났습니다.

특히, 치매의 증가폭이 2005년을 기점으로 가파르게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65세 미만 자에서나 65세 이상 자에서나 같은 양상을 보이고 있었고요.

연도별 진료실인원은 뇌혈관질환이 가장 많았으나,
2002년 대비 2009년 증가율은 치매가 4.51배로 가장 많이 증가했습니다.

65세 미만에서는 2007년을 기점으로 치매 질환자의 수가 가파르게 증가하였고,
65세 이상인 자에서 2002년 대비 2009년 치매 질환자수의 증가율이 4.98로 나타나
65세 이상에서의 치매질환자 증가가 전체 치매 질환자의 증가율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연도별 연령대별 노인성 질환의 의료이용 현황을 살펴 보았더니,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진료실인원과 총진료비가 증가하였습니다.

특히, 치매의 경우 65세 이상 노인에서 2002년 대비 2009년의 진료실인원이 497.7% 증가하였고,
총진료비는 1,232.1%로 증가하였습니다.

65세 미만에서도 노인성 질환으로 인한 의료이용이 꾸준히 증가하였는데,
치매의 경우 30대에서 2002년 대비 2009년 진료실인원은 증가하지 않았지만 총진료비가 465.0% 증가했습니다.


노인성 질환자 진료비 추이 분석 결과가 의미하는 것은?

국민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 신경과 김종헌 교수는 치매질환의 의료이용 증가의 이유로,
노인인구의 증가, 적극적 진단, 치매에 대한 활발한 홍보 등을 지적했습니다.

노인성치매질환노인성치매질환



1. 노인인구의 증가

치매는 나이가 들수록 위험도가 증가합니다.

65세 이후부터는 치매에 걸릴 확률이 5년에 2배씩 증가하고, 85세가 넘은 노인들은 유병률이 30%나 됩니다.


이전에는 감염, 사고 등으로 치매가 걸리기 전에 다른 원인으로 사망할 확률이 높았으나,
현재는 다른 질환에 의한 사망률이 크게 감소했습니다.

이로 인해 인구가 고령화됨에 따라, 곧 치매환자의 증가로 이어졌다고 하는군요.


2. 적극적 진단

적극적 진단에 의한 치매의 증가는 경제 수준이 좋아짐에 따라 치매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고,
치매를 걱정해서 치매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내원하는 환자가 점점 늘어난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3. 치매에 대한 활발한 홍보활동

치매에 대한 홍보활동이 활발해짐에 따라 일반인이 치매에 대한 이해가 늘어난 것도 진단이 늘어난 이유라 할 수 있습니다.

이전에는 치매의 증상이 중증도 이상으로 심해져, 대소변을 가리지 못하는 등의 증상을 보여야 치매를 의심하고 병원에 내원하였으나, 현재는 초기의 인지기능의 변화를 보호자들이 발견하고 병원에 내원하는 경우가 많아졌습니다.


김종헌 교수가 말하는 치매 예방법

대뇌(cerebrum) 활동 참여, 운동, 뇌졸중 예방, 식습관 개선 및 음주, 흡연 자제 등을 권고하고 있습니다.


1. 대뇌활동 참여

대뇌(cerebrum) 활동을 위해서는 책이나 신문 등을 매일 읽는 것도 중요하지만
보다 적극적으로 컴퓨터를 배우고, 전자 메일을 지인들에게 보내는 등의 활동이 치매 예방에 더 좋다고 합니다.

미술, 정원가꾸기 등의 여가활동도 대뇌 활동에 중요하다고 지적했습니다.


2. 규칙적인 운동

근골격계 문제나 그 외의 다른 질환으로 인해 침대에 오랜 기간 누워있는 노인들 중 80%이상이 치매에 걸리게 된다는 점을 지적하며, 걷기, 자전거, 수영 등과 같은 유산소 운동을 꾸준히 하는 것이 치매 예방에 매우 중요함을 강조했습니다.


3. 뇌졸중 예방

노인에게서 흔히 발생하는 뇌졸중을 막는 것도 매우 중요하다고 합니다. 이는 뇌졸중에 의한 혈관성 치매뿐만 아니라 알츠하이머병 예방에도 매우 중요하다고 하는군요.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등의 뇌졸중의 위험인자를 조기에 발견해서 치료를 시작하는 것도 치매치료의 일부라 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기름기 많은 음식을 줄이고, 술과 담배를 멀리하는 노력도 절대적으로 필요하다고 합니다.


이상과 같이 치매에 대한 내용을 자세히 살펴 보았는데요, 50세 이상으로 나이가 많거나 병력이 있는 경우에는 따로 보험가입을 고려해 볼 수 도 있을 겁니다.


다만, 보험회사에서는 보험가입을 거절할 수도 있을 텐데요, 무엇보다 먼저 보험가입을 할 수 있는지에 대한 여부를 확인해 봐야 할 거에요.


만약 보험가입이 가능하다고 한다면 병원의료비와 치매에 대한 보장을 함께 선택하여 가입하는 것도 미래를 위한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을 겁니다.


Posted by 불탄